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테크6

재테크 입문자라면? 재테크 종류와 나만의 원칙 세우기 안녕하세요. 진주별의 써니입니다. 제가 어렸을 때, 새해를 맞이해 친척들 집에 가서 어른들께 세배를 하면 천원짜리부터 만원짜리까지 세뱃돈을 챙겨주셨던 기억이 납니다. 요즘은 물가가 올라서(신사임당님이 생기기도 했고...) 최소가 만원이지 않을까... 싶지만요~ :) 그때는 너무 어려서 '돈'이란 것이 뭔지 잘 이해하지 못했고, '돈 욕심'도 없었기 때문에 제가 받은 세뱃돈은 그대로 엄마 주머니로 들어갔습니다. "저금했다가 너 자라면 줄게~"라는 감언이설(?)에 속아서 말이죠. 물론 저희 어머니가 가계에 꼭 필요한 곳에 요긴히 사용하셨을 거라 믿어 의심치는 않지만요. (웃픔) 나이가 들어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나서도 월급은 어머니에게 가져다 드리고 용돈생활을 했던 저는 '은행'이나 '재테크'와는 거리가 멀었.. 2020. 4. 8.
예금과 적금의 차이 및 이자 계산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진주별의 써니입니다~ 모든 은행의 기본상품이자, 재테크의 첫 단추인 예금과 적금.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적금이란? - 정기적금 : 매월 일정한 금액을 일정기간 동안 은행에 입금하는 것입니다. - 자유적금 : 기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은행에 입금하는 것입니다. 즉, 적금은 적게는 1만원에서 크게는 100만원 이상까지 매월 은행에 납입하여 만기까지 입금하면 약정된 이자를 적립된 원금과 함께 돌려주는 것을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은행의 적금상품이 '진주별 정기적금/연 2.25%/24개월/1만원 이상'이라는 조건의 상품이라면, 1만원 이상의 금액을 매월 주기적으로 은행에 24개월 동안 입금하면 만기 시(24개월 후)에 연 2.25%의 이자를 더해서 적금을.. 2020. 4. 7.
반응형